제로베이스 PM 학습일지

PM 학습일지ㅣ인터넷 서비스의 역사와 기획자 역할ㅣ1-4

NAMNAMN 2023. 1. 6. 16:36

IT 산업의 성장과 고도화

1990년대 ~ 2010년대

 

  • 서비스 기획자는 간단한 랜딩 페이지나 게시판 등의 웹서비스를 개발하던 웹 1~2세대
  • 서비스가 대규모 포털 서비스로 성장하고 발전하며 분업화된 직군 중 하나
  • 서비스의 규모가 커지고 구성원들이 늘어나며 업무가 세분화되고 관리 업무가 많아지면서 등장한 직군
  • 국내의 상명하복의 경직된 의사소통, 복잡한 보고 체계, 부서 간의 이기주의, 연공서열식 평가제도 등 매우 수직적이고 폐쇄적인 기업문화로 인해 중간 관리자가 필요
  • IT업종에서 경영진과 개발자, 퍼블리셔, 디자이너, 운영자, 마케터, AE, CS 등 여러 구성원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서비스 기획자가 됨.
  • 개발 및 퍼블리싱, 디자인 업무를 제외한 데스크 리서치, 유저 인터뷰, 벤치마킹 등을 통한 서비스 전략 수립부터 서비스 정책, 와이어프레임을 포함한 스토리보드 작성, 프로덕트 매니징, QA 진행, 운영, 고도화 등 웹서비스의 A부터 Z까지 모든 영역에 깊숙이 참여하며 웹서비스의 핵심 직군으로 자리를 잡음.

 

 

다양한 스타트업의 등장

2009년 11월 ~

 

  • 2009년 스마트폰이 빠르게 보급되며 규모도 작고 리소스가 부족한 스타트업들의 전성시대가 시작
  • 서비스 기획자를 중심으로 하는 워터폴 방식으로는 비용 대비 효율성도 떨어지고 리스크 관리도 어려운 데다 부족한 리소스로 인해 포털이나 큰 IT기업에서 일하는 좋은 서비스 기획자를 채용하기 어려움.
  • 린스타트업, MVP 등이 지지를 얻으며 작고 빠르게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검증하는 애자일 스크럼 개발 방법론이 확산
  • 최대한 수평적이고 자율적인 조직 문화를 장점으로 내세우며 칸반 보드를 통해 백로그와 이슈 기반의 프로덕트 매니징, 즉 실행에만 집중하는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이 강조
  • 업무 범위도 넓어져 이를 모두 처리하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결국 경험이 부족한 주니어 기획자를 채용하여 기획 및 프로덕트 매니징을 맡김.
  • 한 서비스 기획자가 처리하던 업무를 상위 기획자 또는 전략 기획자라고 일컫는 사람들에게 일부를, 와이어프레임과 목업 등을 만드는데 집중하는 UX기획자 또는 UX 디자이너에게 일부를, 애자일 스크럼 개발 방법론을 도입하며 프로덕트 매니징에 집중하는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일부를 분할하며 더 세분화하기 시작

 

 

스타트업의 성장과 Agile의 한계

2020년대

 

  • 사업 규모가 커지고 구성원들이 많아지는 데다 애자일 스크럼으로 대표되는 개발 중심 문화로는 빠른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나 회사의 전략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고 의사 결정이 비효율적이며 빠른 업무 진행이 어려워짐.
  • 개발 방법론에는 애자일 스크럼을 적용하더라도 의사 결정과 매니징 등은 워터폴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이며 빠른 의사결정에 대한 권한과 그 의사결정에 책임을 지는 프로덕트 오너라는 표현이 등장
  • 프로덕트 오너의 등장은 개발자 중심의 스타트업 문화가 규모가 커지면서 실패를 경험하고 축적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워터폴로 회귀하는 과정.
  • 프로덕트 매니저의 등장이 스타트업 환경에서 워터폴의 실패에 기인했다면, 프로덕트 오너의 등장은 성장한 스타트업이 경험한 애자일의 실패에 기인함.
  • 프로덕트 오너라는 표현을 쓰는 쿠팡이나 토스와 같은 조직은 애자일 스크럼 개발 문화를 가지고 있다지만 비즈니스 프로세스나 의사 결정은 워터폴에 가까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