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 지표를 측정하느냐에 따라서 어떤 개선을 이뤄낼 것인가 결정되므로, 수많은 데이터 중 적절한 지표를 설정하는 것은 기업 및 서비스 기획자에게 매우 중요한 일
  • 올바른 지표 설정과 추적을 위해서는 지표들을 잘 이해하고 지표를 통해 제품(서비스)의 요소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고객들이 제품에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해야함.
  • 추측과 직감이 아닌 정확한 데이터를 통해 제품을 분석하고 올바른 방향을 설정해야함.

지표를 통해 알아야 할 것

  • 어떤 기능이 가장 인기 있는지, 자주 혹은 아예 이용되지 않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 사용자가 제품이 참여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 가입 후 얼마나 많은 유저가 다시 돌아오는지 확인해야한다.
  • 제품 내에서 고객 만족도를 측정한다.
  • 핵심 유저와 그 외 유저 집단을 식별한다.

좋은 지표

  • 상대적임. 어떤 지표를 놓고 시대별, 사용자 그룹별, 경쟁자별로 비교 가능 함.
  • 이해하기 쉬움. 구성원 모두가 지표를 기억하고, 대화를 나눌 수 없다면 지표를 바탕으로 행동을 할 수 없음.
  • 비율로 표현됨. 비율은 다소 대조적인 요소들이나 갈등이 있는 요소들을 비교하기 좋음.
  • 행동방식을 바꿈. 해당 지표의 변화를 위해 다음에 어떤 행동을 해야할지 알려줌.

지표 선택 시 염두해야 할 사항

  • 정성적 지표 / 정량적 지표
  • 허상 지표 / 실질 지표
  • 탐색 지표 / 보고 지표
  • 선행 지표 / 후행 지표
  • 상관 지표 / 인과 지표

핵심 지표 카테고리

  • 참여(Engagement) : 핵심 작업의 빈도와 주기
  • 수익(Revenue) : 발생 수익
  • 전환(Conversion) : 구매 유도, 가입, 폼 채우기, 등
  • 리텐선(Retention) : 재방문
  • 활동(Activation) : 유저의 첫 번째 가치 있는 활동 순간
  • 활성 유저(Active Usage) : 일, 주, 달, 년간 활성유저
  • NPS : 고객만족

+ Recent posts